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이야기

2024년 출산지원금, 출산혜택 확인하기

by otc 2023. 12. 9.

 

출생률이 역대 최저를 찍어가면서 저출산에 대한 문제로 저출산 해결을 위해 출산지원 혜택을 계속 늘려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출산지원금 중 '첫만남이용권'을 기존 200만원에서 둘째부터 300만원 지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2024년 출산지원금과 출산혜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지원금

1. 임신바우처

가장 먼저 임신 단계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임신바우처가 있습니다. 임산부에게 건강한 태아의 분만과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진료비 일부를 국민행복카드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임신 1회당 100만원을 지원합니다. 

 

 

임신바우처는 병원에서 임신 확인을 받고 임신·출산 진료비 지급 신청서를 발급 받은 후 병원에서 등록하거나, 직접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바로가기

 

2. 첫만남이용권

자녀를 출산하면 최초 1회 지급되는 바우처로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사업으로 첫째 200만원, 둘째 300만원을 지원합니다. 

 

첫만남이용권의 신청은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첫만남이용권 신청하기

 

3. 부모급여

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 아동에 대해 가정양육, 시간제보육 등에 사용하거나 어린이집 이용,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되는 월 단위 보편수당으로 0세(0~11개월) 월 100만원, 1세(12~23개월) 월 50만원을 지원해 줍니다.

 

부모급여는 출생신고 시 같이 신청하면되며, 출생신고 때 신청하지 못했다면 출생일 60일 이내에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60일 이후에도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난 시점의 급여는 소급해서 받을 수 없으므로 60일 이내에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부모급여 신청하기

 

4. 출산축하금

정부에서 지원하는 첫만남이용권 외에도 각 지자체별로 지원하는 출산축하금이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만큼 각 지역마다 조건과 지원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지원내용을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 

 

확인은 아이사랑 홈페이지-출산지원금에서 지역을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이사랑 출산지원금 확인하기

 

5. 양육수당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영유아를 돌보는 경우 지원합니다. 부모급여가 끝난 후 24개월부터 86개월 초등학교1학년 입학 전 까지 받을 수 수당으로 매월 10만원씩 지원합니다. 

 

신청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양육수당 신청하기

 

6. 아동수당

부모급여와 양육수당과 중복으로 받을 수 있는 아동수당이 있습니다. 아동수당은 만 8세미만(0~95개월)까지 아동 1인당 매월 10만원씩 지원합니다.

 

신청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아동수당 신청하기

 

맘편한 임신 통합서비스

위에 설명한 지원혜택 외에도 엽산제 지원, 철분제 지원, KTX 특실 할인, SRT 임산부 할인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지원이 많은 건 좋지만 반대로 너무 많아 생각 못하거나, 기간이 지나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각종 임신 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하고 통합신청하는 맘편한 임신 서비스가 있습니다. 

 

신청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정부24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정부24 맘편한 임신 신청하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