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9

연금저축펀드 좋은점, 해야하는 이유 대한민국은 심각한 노령 사회에 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 1위를 할 정도로 노후준비가 안되어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준비하지 않으면 은퇴 후에도 일을 하며 노년을 보내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401k라는 퇴직 연금제도로 취업과 동시에 노후 준비가 되고, 은퇴할 때 연금 백만장자도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일찍 시작한 만큼 복리효과도 최대한 누리는 겁니다. 우리나라에는 401k와 비슷한 연금저축펀드가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해야 하는 이유 1. 세액공제 가장 큰 이점 중 하나는 바로 세액공제입니다. 연금저축펀드의 납입한도는 총 1,800만원에 세액공제 최대한도는 400만원(내년 600만원 상향 예정) 으로 16.5%인 최대 66만원의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 시 13.. 2022. 7. 30.
미국 S&P500 ETF에 장기투자해야 하는 이유 “내가 죽으면 재산의 90%는 인덱스 펀드에, 나머지 10%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라.” - 워렌 버핏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으려 하지 말고 그 건초더미를 다 사라” - 존 보글 주식 투자의 대가들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으로 시장 성장률을 이길 수 없으니 개별 종목을 찾는데 시간을 쓰지 말고 인덱스 펀드에 장기 투자하라고 합니다. S&P500에 장기 투자하면 결과가 어떻게 될까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S&P500의 주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이 예쁘지 않습니까? 코스피의 주가는 어떨까요? 흔히 박스피라고 부르는 코스피의 주가입니다. 어떤가요? 정말 박스권에 갇혀 제자리에 맴도는 것 같지 않습니까? 물론 코스피를 통해 수익을 내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세계 1위 국가 미국이 망하기.. 2022. 7. 27.
인덱스 펀드와 상장 지수 펀드 ETF의 이해 주식을 시작하려고 공부하다 보면 인덱스 펀드와 ETF라는 용어를 수도 없이 듣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인덱스 펀드와 ETF를 이해하고 투자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덱스 펀드 인덱스 펀드는 말 그대로 지수(index)를 추종하는 펀드로, 한국의 kospi나 미국 s&p500과 같은 시장 지수를 따라가는 펀드입니다. 이처럼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를 패시브(passive) 펀드라고 부르며, 반대로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기 위해 종목 선정과 매매, 자산 배분을 적극적으로 하는 펀드를 액티브(Active) 펀드라고 부릅니다. 패시브 펀드 - 시장 지수를 추종해 평균 수익률을 따라가는 목표로 안정적인 투자 방식입니다. 상위권 기업들의 일정 비율에 맞춰 포트폴리오가 정해지게 되므로 펀드매니저의 역할이.. 2022. 7. 26.
주식 투자, 시간과 복리효과를 이용해서 성공하기 주식 초보자, 주린이의 경우 지금 눈앞의 수익 중이거나 손실 중인 현재만 보고 사고팔고 하게 됩니다. 또는 위험 관리 차원에서 수익금은 따로 빼고 원금만 그대로 재투자를 하는 분도 계십니다. 이는 복리효과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용할 줄 몰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단리와 복리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고 복리는 원금과 이자의 합한 금액에서 이자를 주는 방식으로 원금에 대한 이자만 주는 단리에 비해서 이자가 계속 늘어납니다. 때문에 복리효과는 처음에는 더딘것 같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늘어나게 됩니다. 만약 100만원을 투자해서 10% 상승했다면 10만원의 수익이 발생하고 다음날 또 10%가 상승했다면 10만원의 수익이 아닌 11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처럼 똑같은 수익률.. 2022.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