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자급제, 갤럭시 자급제 등 최신 핸드폰이 처음 나오면 자급제라는 말이 많이 들립니다. 자급제란 공기계 핸드폰을 구입하여 원하는 통신사에서 개통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자급제란?
일반적인 대리점에서 통신사와 약정을 걸어 구매하는 것이 아닌, 아무런 약정 없이 핸드폰 금액을 일시불 혹은 할부로 구매하는 것을 자급제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통신사를 끼고 핸드폰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핸드폰 단말기를 직접 구매해서 유심 설치, 개통까지 스스로 하는 것입니다.
통신사와의 요금 약정 즉, 2년 약정, 3년 약정 등 아무런 제한이 없고, 본인의 통화량, 문자, 데이터 사용량 등 본인의 핸드폰 사용 조건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급제 폰 장점
1. 통신사 약정이 없다.
먼저, 통신사 약정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요즘 MZ세대의 젊은 층은 통신요금을 줄이기 위해 자급제 + 알뜰요금제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뜰 요금제란 말 그대로 알뜰한 요금제로 기존의 SKT, LG U+, KT 통신 3사 대비 30~40%이상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약정이 없기때문에 2~3년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없고 요금제를 쓰다가 언제나 갈아타도 되며 위약금이 없습니다. 5G 전용으로 나온 폰의 경우 비싼 5G 요금을 사용해야 하는데 기존에 쓰던 유심을 옮겨 4G 요금제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중고 판매시 유리하다.
또한, 자급제로 구매한 핸드폰은 중고로 판매시 유리합니다. 최신 폰의 가격은 150~200만원까지 합니다. 1~2년 사용후 판매를 많이 하는데 자급제 폰은 아무 유심이나 바꿔끼면 되지만 통신사를 끼고 산 핸드폰은 그 통신사를 이용중인 사람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더 오래 걸리고 그만큼 판매하기가 어렵다. 요즘 핸드폰 가격이 워낙 비싸 중고로 구매하는 분들도 많기때문에 판매가 쉽다는 것은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자급제 폰 단점
1. 초기 구매비용이 부담된다.
자급제 폰을 구입하기 위해선 핸드폰 단말기의 값 100%를 납부하기 때문에 초기 부담이 많이 갑니다. 통신사 폰은 통신 요금은 비싸지만 핸드폰 구매 비용을 지원해줘서 초기 부담은 적은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형마트나 가전매장, 온라인 사이트에서 사전 예약 할인, 카드 할인 등 할인 이벤트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항시 주시해야 합니다.
2. 사은품, 제휴 혜택이 없다.
통신사가 제공하는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통신사는 대형 플랫폼과 제휴를 맺어 무료 구독권이나 할인권을 줍니다. 무료 영화관람권, OTT 할인 구독, 노래 어플 등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통신사 폰은 무선 이어폰, 스마트 워치, 무선 충전기 등 꽤 값이 나가는 제품을 사은품으로 주기도 합니다.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 요금할인 방법 확인하기]
자급제 폰 정리
자급제 폰 구매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월마다 나가는 요금을 저렴하게 하고싶다면 자급제로 구매 후 알뜰요금제를 이용하고, 초기에 핸드폰 구매 비용을 줄이고, 통신사 제휴 혜택이나 가족 결합, 사은품 등 안정적인 대기업 통신사를 원하면 통신사 폰을 구매하면 됩니다. 본인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돈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대 여자 자격증 추천 (0) | 2023.02.10 |
---|---|
기저귀바우처, 저소득 기저귀 지원 신청방법 (0) | 2023.02.04 |
도시가스 요금조회 3가지 방법 (0) | 2023.01.28 |
‘난방비 폭탄’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0) | 2023.01.27 |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