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오면 날씨도 따뜻해지고 꽃도 예쁘게 피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를 가지신 분들이라면 봄이 고통스럽습니다. 봄만 되면 눈이 따갑고 콧물이 나고 재채기가 나오는 등 이상 증상이 있다면 알레르기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그럼 꽃가루 알레르기는 어떤 증상이 있는지, 치료방법과 항히스타민제 약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꽃가루 알레르기,알러지 증상
꽃가루 알레르기의 대표적인 증상은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피부염 등이 있습니다. 특히 꽃가루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이 발생하면 물 같은 콧물이 지속되고, 연속적으로 재채기를 하며, 양쪽 콧구멍이 막히게 됩니다. 또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생기면서 눈이 가려워지고, 충혈되거나 눈곱이 끼기도 합니다.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생기면 꽃가루에 노출된 눈 주위, 얼굴, 목, 손, 팔 등과 같은 부위에 닿아 빨갛게 변하고 가려워 집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치료방법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의 치료방법에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피하는 환경요법과 약물요법, 면역요법이 있습니다. 원인이 되는 물질을 피하는게 가장 좋지만 근본적으로 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약물요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 약 항히스타민제란?
항히스타민제(Antihistanines)는 주로 각종 알레르기증, 알러지성 비염으로 인한 코막힘, 피부 가려움증, 두드러기, 눈 주변이 가렵거나 눈물이 나는 증상 등 다양한 알러지의 원인이 되는 히스타민을 억제해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합니다.
항히스타민제 종류
항히스타민은 의사 처방이 필요없이 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한 일반의약품과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 있습니다.
일반의약품 : 콧물, 가려움 등 알레르기성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작용을 억제하는 로라타딘, 알레르기 비염, 피부염, 두드러기 치료에 사용되는 2세대 항히스타민 세리티진,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클로르페리라민과 펙소페나딘.
전문의약품 : 데스로라타딘, 베포타스틴
항히스타민제 부작용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으로, 장거리 운행이 있을때는 항히스타민제의 복용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항히스타민제 섭취시 주의사항
1. 항우울제 등 중추신경제 억제 약물이나 알코올 등과 함께 섭취하지 않기.
2. 중복 투여하지 않도록 복용 전 성분 반드시 확인하기.(일부 종합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있음)
3. 복용 후 심장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복용을 즉시 중단하고 전문의사 진료받기.
4.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인 부인, 6세 미만 소아는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기.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인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에 주의해서 섭취하고 효과를 보시기 바랍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패스 교통카드 혜택, 할인, 신청방법 (0) | 2024.04.06 |
---|---|
마음속 불안이 사라지는 석가모니 말씀 명언 (0) | 2024.04.02 |
2024년 봄 벚꽃 축제 일정 (0) | 2024.03.19 |
우삼겹과 차돌박이 차이점 (1) | 2024.03.13 |
일본 관광세 도입 검토 (0) | 2024.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