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이야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수령나이 알아보기

by otc 2023. 3. 4.

 

국민연금이란 나이가 들어 은퇴하거나, 장애가 있거나 등 소득 능력을 상실했을때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으로 공무원연금을 이용하는 공무원·군인·교사 등을 제외한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은 매달 일정금액을 납부하게 됩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젊은 나이에는 연금으로 나가는 돈이 아깝지만 막상 은퇴할 나이가 되면 노후를 위해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나 궁금하게 됩니다. 아래에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과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

 

1.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접속하기]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후 자주 찾는 서비스에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1.2 예상연금액 조회하기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고 공인인증서, 개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 합니다.

 

1.3 예상연금액 확인하기

국민연금

 

표를 통해 현재가치 예상연금액, 미래가치 예상연금액 등 상세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2023년은 물가상승분을 반영해 5.1%인상되어, 기존 100만원을 수급 받았다면 2023년부터는 5.1%인상된 1,051,000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1.4 향후의 소득 및 가입기간을 수정하여 재계산

국민연금

부양가족, 출산, 군복무 등 변경사항이 있다면 수정후 재계산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가입·납부액 조회

국민연금은 가입기간과 납부액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국민연금공단에서는 예상수령액과 가입·납부내역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2.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접속하기] -> 자주찾는 서비스 -> 내연금 알아보기 -> 가입·납부내역 조회 순으로 선택합니다.

 

2.2 납부내역 확인하기

국민연금


총 납부월수와 납부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국민연금 수령나이

3.1 국민연금 일반 수령나이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10년의 납부기간을 채워야 합니다. 10년을 납부했다면 1953~1956년생은 61세, 1957~1960년생은 62세, 1961~1964년생은 63세, 1965~1968년생은 64세, 1969년생 이후는 65세에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 노령연금
1953~56년생 61세
1957~60년생 62세
1961~64년생 63세
1965~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3.2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조기수령은 일반 수령나이에 비해 최대 5년을 앞당겨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 1953~56년생 1957~60년생 1961~64년생 1965~68년생 1969년생 이후
일반수령 나이 61세 62세 63세 64세 65세
조기수령 나이 56세 57세 58세 59세 60세
청구당시 나이 58세 59세 60세 61세 62세
지급률 70% 76% 82% 88% 94%

다만, 조기수령의 경우 1년을 앞당길 때마다 지급률은 6%씩 감소합니다. 1964년생을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표에서 보는것과 같이 1964년생의 경우 63세에 국민연금이 개시되지만 1년 앞당겨 62세에 받게되면 95%만 지급받고, 2년 앞당긴 62세에는 88%를, 최대 5년 앞당기면 58세에 70%를 지급받게 됩니다. 

 

  1년 2년 3년 4년 5년
조기수령 -6% -12% -18% -24% -30%
연기수령 +7.2% +14.4% +21.6% +28.8% +36%

반면에, 지급 나이를 늦추게되면 1년에 7.2%씩 지급률이 증가합니다. 은퇴에 가까워지고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되면 노후자금을 잘 계산해서 지급시기를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4. 인증없이 간단한 예상연금 알아보기

공인인증서, 개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고 확인하는게 번거롭다면 인증절차 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민연금공단 홈페이지[접속하기] -> 자주찾는 서비스 -> 내연금 알아보기 -> 예산연금 모의계산 or 예상연금 간단계산 클릭

 

4.1 국민연금 예상연금 모의계산

국민연금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간단한 기본정보, 소득정보, 크레딧 대상을 입력하고 결과보기를 하면 계산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2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을 클릭하면 월 납입금액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월 납입금액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계산되어 예상 지급금액을 알려줍니다. 간단한 예상금액인 만큼 가볍게 보고 넘기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5. 국민연금 총정리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과 수령나이,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간단한 모의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확인해보시고 은퇴 후 노후계획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국민연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함께보면 좋은 글

50대 노후대비 유망 자격증 추천 best4

 

50대 노후대비 유망 자격증 추천 best4

이제는 100세 시대입니다. 50대에 은퇴한다면 길어진 수명만큼 노후에 30, 40년을 더 보내야 합니다. 남은 여생을 어떻게 보내실 건가요? 노후준비뿐 아니라 지루하지 않은 삶을 위해 중장년에도

otcl.tistory.com

60대 일자리 쉽게 찾기

 

60대 일자리 쉽게 찾기

이제는 100세 시대라고 합니다. 하지만 일반 직장인이라면 빠르면 40대 늦어도 60대에는 대부분 퇴직을 하게 됩니다. 이른 나이에 퇴직하게 되면 앞으로 30~40년은 더 살아야 합니다. 은퇴후 60대 이

otcl.tistory.com

잠자는 내 돈 찾기 '휴면예금 찾아줌' 이용방법

 

잠자는 내 돈 찾기 '휴면예금 찾아줌' 이용방법

휴면계좌에 잠들어 있는 돈이 3조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 중 휴면예금 찾아줌 서비스를 통해 찾아간 예금은 1조 400억정도가 된다고 합니다.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잠들어 있는 돈이 있을 수 있으

otcl.tistory.com

 

 

반응형

댓글